다소 생소하게 들릴 수 있는 '젠트리피케이션' 이란 경제용어의 하나로서 시사상식사전에 의하면 '낙후됐던 구도심이 번성해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면서, 임대료가 오르고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을 이르는 용어' 라고 되어있다. 즉 '젠트리피케이션' 이란 쉽게 얘기해서 '굴러온 돌이 박힌돌을 빼낸다' 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장점과, 단점 동전의 양면성과도 가까운 특성을 띄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좋지 않은 인식과 형태로 나타나는게 보편적인 현상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영국의 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1964년 처음 사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는데, 런던 서부에 위치한 첼시와 햄프스테드 등 하층계급 주거지역이 중산층 이상의 계층 유입으로 인하여 기존의 하층계급 주민이 쫓겨나는 현상 이후에 지역 전체의 구성과 성격이 변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단어입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의 현상을 띄는 곳으로는 서울의 서촌, 경리단길, 연남동, 홍대앞, 삼청동길, 이태원 경리단길, 신사동 가로수길, 북촌, 서촌, 성수동, 해방촌, 홍대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대부분 골목상권으로 처음에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낙후 지역이라는 공통점들이 있습니다.
서울 뿐 아니라 인천 신포동, 대구의 동성로, 중구 김광석길 등 지방에도 예외없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최근 전라도 광주 남구에 있는 양림동은 '젠트리피케이션'이 아니라 '관트리피케이션' 이라는 신조어가 나왔는데, 공공기관의 '관(官)'의 합성어로 만들어진 단어입니다.
양림동이 관트리피케이션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지역주민들이 몇 차례 반복해 지역발전에 대한 도시재생사업을 해달라는 의견을 요구했지만, 들어주지 않던 공공기관이 주민들의 노력으로 '펭귄마을' 이라는 문화예술 마을을 구성해 유명세를타자 급속도로 예산을 투입해 문화공간지구로 확대하고 공방등을 연계한 특화거리로 만든다고 지정해서 나온 말입니다. 특화거리로 개발된 이 후의 이 마을의 앞날은 불 보듯 뻔 한 일이 되겠죠.
'젠트리피케이션'은 비단 우리나라 뿐 아니라 뉴욕의 소호거리, 덤보, 윌리엄스버그, 크라운하이츠 역시 고충에 시달리는건 마찬가지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이 된 4월 대선 공약으로도 거론이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공청회도 열렸었는데요, 이제는 국민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 할 사회적 문제로 부상되었습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낙후되고 사람들의 발길이 잘 닫지 않는 곳에서 자신만의 개성있고 다양한 활동들로 작은 문화공간들을 만들어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상권을 살려놓습니다. 그러면 유입인구가 많아지고 이로써 임대료 폭등으로 인해 기존의 영세상인들이 자신들이 일구어놓은 상권을 떠나게 될 수 밖에 없게 됩니다.
높은 임대료를 감당할 수 있는 대기업 또는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려와 상권을 소유하게 되는데 처음의 모습을 잃어버린 상권은 점점 사람들의 발길은 줄어들고 이로 인해 상권은 또다시 악화되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즉, 이러한 현상들이 반복되는 것을 '젠트리피케이션' 이라고 합니다.
댓글 영역